주식 간단한 용어 정리!
주식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단어들이 있죠? 하지만 너무 많은 양과 어려운 내용 탓에 쉽게 이해하기 힘들 때가 많아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간단하게라도 알고 있으면 좋은 주식용어들을 알려드릴게요.
매수/매도 뜻이 뭔가요?
매수란 말 그대로 사는것 매도란 말 그대로 파는 것입니다. 매수(買收)라는 한자어 자체가 ‘물건을 사들인다’라는 뜻이죠. 반대로 매도(賣渡)는 물건을 판다는 뜻이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증권시장에서 쓰이는 표현이에요.
주가 상승/하락이란 무슨뜻인가요?
주가는 기업의 가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가가 오른다는 건 그만큼 해당 기업의 가치가 올라간다고 해석할 수 있겠죠? 따라서 주가가 하락한다는 건 기업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는 겁니다. 다만 이 주가는 매일매일 변하기 때문에 하루하루 변하는 주가를 보고 판단하면 안 되겠죠? 며칠 동안 지켜본 후 큰 변화가 없다면 그때서야 비로소 하락세인지 상승세인지 알 수 있답니다.
PER / PBR 이란 어떤 건가요?
PER은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부르며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특정회사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말이에요.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순이익이 2천원이라면 PER은 10배가 됩니다.. 즉, 해당기업의 주식가격이 주당순이익의 1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예요. 만약 B라는 회사의 주가가 1만원이고 주당순이익이 5천 원이라면 PER은 5배가 됩니다.. 다시 말해 같은 업종의 비슷한 규모의 다른 회사들과 비교했을 때 A사는 순이익 대비 고평가 되어있고, B사는 저평가되어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부르며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는 특정회사의 주식가격을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값을 말해요. 쉽게 설명하면 시가총액대비 순자산가치가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수치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순자산이 8천 원이라면 PBR은 0.8배가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자산총계 항목 내에서도 부채항목인 단기차입금 및 장기차입금 그리고 사채금액 역시 제외시켜야 해요. 또한 자기 자본 항목 내에서도 자본금 이외에 이익잉여금등 여러 가지 항목들을 모두 고려하여야 해요.
위 세 가지 지표 중에서도 특히 PER지표는 투자판단 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데요, 만약 내가 산 종목이 고평가 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 궁금하다면 네이버 금융 사이트나 한경컨센서스 등 여러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검색해서 알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 컴퓨터는 어디에 쓰일까요? (0) | 2023.08.30 |
---|---|
초전도체란 무엇일까? (0) | 2023.08.16 |
양자 컴퓨터란? (0) | 2023.07.31 |
2차 전지란? (0) | 2023.07.28 |
주린이 주식 시작하기 (0) | 2023.07.07 |